11월 6일부터 석유제품 중에서 휘발류와 경유가 최대 123원과 85원 떨어진다고 한다.
15프로의 인하를 결정 하였으므로 실제 시장에서 나타나는 것은
몇일 걸리겠지만 자영 주유소는 반영 기간이 좀 더 걸리겠지만
직영 주유소는 전체 주유소의 10프로 정도라 바로 반영된 가격으로
정유업계 쪽에서 공급을 한다고 한다. 따라서 직영 주유소에 당분간
줄서서 기름을 넣는 행렬이 발생하는 것을 자주 보게 될것이다.
지방은 회전율이 낮으므로 좀 더 시간이 걸릴것은 당연하다.
그럼 과거 뉴스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
2011.04.04 | 에너지경제
1주에 1리터당 934원이었던 유류세가 국제유가의 상승과 함께 매주 인상되어 2011년 3월 5주에 965.8원으로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류세 인상에 따라 소비자들은 휘발유...
-
2011.05.20 | 경제플러스
세금이 국제유가 상승과 함께 매주 인상돼, 이달 둘째주에는 966.68원으로 인상됐다고 소시모는 주장했다. ▲ 32주간 유류세 인상…정부·정유사만 '짭짤' 이에 따라 소비자...
-
2011.02.22 | 에너지경제
2010년 10월1주부터 세금도 같이 상승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유류세 인상은 국제유가 인상과 함께 따라 오르는 관세와 부가가치세 인상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
2013.02.26 | 국토일보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유류세연동보조금은 정부의 에너지세제개편에 따른 유류세 인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항화물선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2001년 7월부터 지급해...
-
2011.10.31 | KNS뉴스통신
6,000억 원이 더 많이 부과된 것으로 드러났다. 국제원유값이 상승할 때는 '유류세 인상'에 적극적이던 당국이 하락할 때는 '세수확보의 문제점'을 들어 소극적인 태도로...
-
2011.05.20 | 에너지경제
인하됐지만 오히려 유류세는 리터당 약 966.68원으로 주유소 판매가격이 리터당 약 1968원이던 4월 1주보다도 0.02원 인상, 휘발유가격은 내려도 유류세는 인상됐다고 지적...
-
2016.06.02 | 지앤이타임즈
[지앤이타임즈]종합적인 미세먼지 저감 대책은 세우되 유류세 인상 처럼 서민 부담이 늘어나는 정책은 지양할 것으로 여당이 주문했다. 새누리당은 2일, 국회에서 정부와...
-
2015.07.10 | 오토타임즈 | 다음뉴스
2000년에는 연간 최고 기록인 29만대까지 치솟았다. 심지어 정부가 LPG 유류세 인상을 예고한 2001년에도 21만대를 찍었고, 2002년에도 20만대를 넘겼다. 정부로선 LPG차가...
-
2012.03.13 | 머니투데이 | 다음뉴스
인상에 따라 자동으로 세수가 증가하는 종가세(從價稅)"라면 "정부가 물가인상에 따라 더 걷힌 유류세만 포기하더라도 서민들의 세금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
2015.01.14 | 조선일보 | 다음뉴스
외환 위기 당시 세수 확보 차원에서 대폭 인상된 교통세부터 다듬는 조치가 필요하다...국민과 약속하지 않았던가? 유류세 인하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원유를 수입에...
-
2011.04.06 | 한국경제 | 다음뉴스
윤 장관은 국가 재정의 건전성을 책임지고 있다. 김 총리는 이날 유류세 인하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물가 인상의 중요한 요인이 됐던 농축산물과 관련해서는 상당한 개선...
-
2012.03.14 | SBS | 다음뉴스
수 있고 일정 물량에 대해서도 관세를 낮출 수 있습니다. 연맹은 정부가 물가인상에 따라 더 걷힌 유류세만 포기하더라도 서민의 세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고 강조했습니다...
-
2014.08.14 | 연합뉴스 | 다음뉴스
호키 호주 재무장관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시드니=연합뉴스) 정열 특파원 = 유류세 인상을 추진 중인 조 호키 호주 재무장관이 저소득층을 비하하는 듯한 발언으로 논란...
-
2011.02.14 | 아시아투데이
인상을 막기보다 시장에 맡겨진 휘발유, 경유 등의 연료유와 LPG의 가격 인상 억제를 위해 유류세 인하가 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정부가 에너지 가격의 인상을 억제하기...
2011년 유류세 인상이 발표되고 시민들은 무슨 개소리냐고 반발했지만
강행했다. 지금은 자한당에 모여든 것들이 당시에 느낌이
왈왈왈 거리면서 또 인상해야 한다고 하며 반발한
반대로 오늘부터 15프로를 인하 하기로 결정해 부글부글 거린다고 한다.
브렌트유가 흐름을 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 60달러 부근인데
ex oil ,sk oil, 현대오일뱅크, s oil , 알뜰주유소, 농협주유소,엘지오일,등 많지만
정유사 직영 주유소만 가격이 내린다니 잘 알아둬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8A34B5BE037FD2E)
휘발유등 유류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서 물가가 올라가고
모든게 상황이 좋지가 않는데 , 잘 선택한 결정이다.
미얀마에서 지낼때 휘발유가 1리터에 650-800원 꼴이었던 기억이 난다.
지금은 어찌 바뀌었는지 모르지만 저렴하다고 생각되었던 기억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20C4A5BE0389009)
위 그래프는 최근 6년간 브렌트유 가격 변동 그래프이다.
현재 떨어져 약간 회복한 이후에 배럴당 60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다.
겨울이라 약간 상승하겠지만 아직 겨울전이라 충분히 저장하므로 약간의
변동만 있을 수 있다.
이번 겨울엔 추위가 우리나라 주변국은 갑자기 추워질 수가 있다고 하므로
연료값이 장난 아닐수가 있다.
운전자들에겐 정말 희소식인데,
문제는 이렇게 올려 놓은 유류세가
맹박이때인가 그 후인가 였다..
나라꼴이 엉망이게 몇조씩 자원외교 하느라
포스코 생돈 꼴아박게 했다는 애기도 증인이 나와 내부 일을 밝혀서
아마 언젠가 가시화 되겠지만....